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

Pump의 유량에 따른 온도상승 구하기 안녕하세요~ 화공 쟁이 우파파입니다. 공단의 정기보수기간이 끝나고 오랜만에 포스팅을 하네요. 오늘은 Pump의 유량에 따른 온도 상승량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Pump사용 유체의 어는점이 높거나, 상시 Return Circulation을 하여 운전하는 경우, 또는 대용량의 Pump사용 시에는 Suction 측 유체와 Discharge 측 유체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오늘은 이 값을 대략적으로 계산하는 수식과 예시를 통해 계산해보고자 합니다. 1. 계산식 먼저 어떤 펌프이건간에 100%의 효율을 가지는 펌프는 없기 때문에, Pump로 전달된 Motor동력이 온전히 유체를 밀어내는데 사용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에너지 손실 및 수력학적 손실은 온전히 이송유체에 전달되.. 2022. 12. 9.
전기세 계산하기 - 가전, Pump 전력량, Compressor, Blower, Fan etc. 오늘은 엔지니어라면 알아둬야 할~ 전기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장에서 사용하는 Pump, Blower, Compressor, 공조기 등의 전력 사용량, 전기세 계산을 쉽게,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기세 계산에 필요한 정보 전기세를 계산하려면, 우선 아래와 같은 사항을 알아야 합니다. 정격 전력량에 대해서는 해당 기계류의 Data Sheet를 보면 되는데요 우선 예시를 통해 알아보지요. 아래 그림에서 전력사용량 계산 및 전기세 계산을 위해서는 Number of Phase : 보통 3상입니다. Current(Rated or Full, 또는 DCS 지시치) - V Rated Voltage(정격전압) - A 세 가지가 필요하고, 부가적으로 Efficiency, Power Factor가.. 2022. 9. 15.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 연료 가스 에너지열량 개념과 대체연료 선정, 환산방법, 계산식 오늘은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개념과, 연료 가스 에너지 열량의 개념, 환산 방법, 대체연료 선정 방법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공계열 직업에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단어가 어려워 어떤 경우에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막막하실 겁니다. 최대한 쉽게, 예를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고위, 저위라는 한자를 사용하여 조금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겠지만, 개념을 확인하시면 아주 간단합니다. ▶고위발열량(HHV, High Heating Value) : 연료가 완전히 연소했을 때의 열량으로,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값을 말하며 다른 용어로 "총 발열량"이라고도 합니다. 수증기의 잠열은 완전연소 시 온/ 압에서 S.. 2022. 9. 6.
대기배출가스의 수분보정, 공기비 적용 공식 - TMS, 대기총량제, 대기환경보전법 관련 간단하지만 많이들 모르시는 배출가스의 수분 보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가져볼게요. 저번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관청으로 송신되는 대기배출가스의 농도, 유량은 각각 공기비 보정 및 수분 보정이 들어가는데요. 이를 위해서 TMS에는 수분 보정계수가 입력 또는 측정되게 되어 있습니다. 1. 수분 보정 방법 (배출가스 유량) 먼저 수분 보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계산에 사용되는 항목을 아래와 같이 나열하겠습니다. 측정 배기가스의 온도 (Ts), ℃ 측정배기가스의 압력 (Ps), 측정위치에서의 대기압(Pa), mmHg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량(Q) = 굴뚝 단면적(m2) X TMS 유속 유량계 측정값(m/s)*3600 = m3/hr 측정된 수분 값(W, vol %) = 흡습 수분의 질량 값으로 표.. 2022. 9. 2.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 선택적 촉매 환원법 원리, 탈질, TMS 및 대기총량제 관련 설비, SNCR과 비교 이전 TMS, 대기총량제, 대기환경보전법 관련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각기 다른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대기총량제 및 대기환경보전법으로 사업장 배기가스의 대기오염물질 규제가 강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배출물질 저감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이 도입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 하나인 SCR과 SNCR의 개념, 비교 그리고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CR과 SNCR? 개념과 원리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 개념 : 선택적 촉매 환원은 고온 연소반응 중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Thermal NOx를 질소와 물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촉매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암모니아(환원제)는 촉매의 도움을 .. 2022. 9. 2.
태풍 대비 요령, 행동요령, 안전수칙 - 11호 태풍 힌남노, 초강력 태풍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다음 주 화~수요일(9/6~7日) 사이 남부지방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드린 대로 힌남노는 초강력 태풍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2003년 매미와 필적하는 위력을 가진 힌남노 태풍 대비하여 가정에서의 대비 요령, 행동요령 및 안전수칙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행동요령 및 안전수칙 먼저 행동요령입니다. 태풍 진로 및 도달시간을 확인하세요 (기상청 실시간 확인) 사전에 대피장소를 확인하세요 저지대나 상습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공간, 노후건물, 하천 내 등 위험지역에서는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 주세요. 주책이나 차량 등 재산보호를 위해 사전 대비해 주세요 (차량 이동, 창틀에 테이프 고정, 지붕/ 간판 등 날아가기 쉬운 물건 결박, 배수구 사전점검,.. 2022. 9. 2.
태풍 힌남노 9월 1일 기준 예상 이동경로, 한반도에 미칠 영향, 태풍 위력 오늘은 어제에 이어 11호 태풍 힌남노의 9월 1일 기준 예상 이동경로와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만 동남쪽 해상을 지나 점점 강력해지는 태풍 힌남노, 과연 한국에 어떤 영향과 위력을 보일까요? 1. 힌남노 현재 위치와 이동경로 힌남노는 8.28일 도쿄 남동쪽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습니다. 이름은 국제기구태풍위원회 회원국인 라오스에서 제안하였고, 국립보호구역의 이름을 따왔다고 합니다. 오늘 기준 태풍의 정보입니다.(8/31일과 비교) 기준일시 22.9/1 중심기압 915hPa동일 태풍반경 230km→280km 진행속도 26km/hr→27km/hr 최대풍속 55m/s→55m/s 진행방향 서→남서 현재 힌남노의 이동 경로는 맹렬한 기세로 1일 오후부터 일본 오키나와 주변 남해상에 정체한다.. 2022. 9. 1.
11호 태풍 힌남노 현재 위치 및 예상 경로, 한국에 미칠 영향은? 11호 태풍 힌남노가 9월 2일 이후 남해 부근으로 이동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초강력 태풍 힌남노의 예상 이동경로 및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힌남노 현재 위치와 이동경로 힌남노는 8.28일 도쿄 남동쪽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는데요, 그 이름은 국제기구태풍위원회 회원국인 라오스가 제안한 명칭으로 국립보호구역의 이름입니다. 태풍정보는 아래와 같고요, 금일자 기준입니다. 기준일시 22.8/31 중심기압 915hPa 태풍반경 230km 진행속도 26km/hr 최대풍속 55m/s 진행방향 서 현재 힌남노의 이동 경로는 맹렬한 기세로 일본 오키나와 본섬에 접근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힌남노는 이후 오키나와 남쪽에 정체한 후 다시 북상하여 9/1일에는 오키나와에 높은 .. 2022. 8. 31.
반응형